본문바로가기

Our ESG Approach

중대성 평가

SK케미칼은 매년 중대성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에 기반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. 중대성 평가는 내, 외부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, 사회, 환경, 지배구조, 윤리 등 종합적 리스크 관점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. SK케미칼은 중대성 평가 절차 및 결과에 대해 매년 이사회 검토와 제 3자 검증을 시험함으로써 신뢰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.

중대성 평가 프로세스

  • STEP 1
    Issue Pool 구성

    • 사업 분석, 대내외 환경 및 가치사슬 분석, 미디어 분석 등을 통해 사업과 연관되는 Issue Pool 구성
  • STEP 2
    영향 및 리스크·기회 식별

    • ESG 주제와 관련한 영향 및 리스크·기회의 발생 경로 파악
  • STEP 3
    영향 및 리스크·기회 평가

    • 환경·사회 영향과 재무 리스크·기회 관점에서 이슈들의 중대성을 평가
  • STEP 4
    우선순위 따른 중대 ESG 주제 선정

    • 설정한 threshold에 따라 상위 이슈를 중대 주제로 선정

이중 중대성 적용

  • Financial Materiality

    국제 표준 분석
    • DJSI, MSCI, CDP 등의 주요 투자기관 지표 요건 적용
    • TCFD, SASB 등 투자기관 활용도 및 영향도 검토, IFRS, CSRD, S&P Global 요건 반영
    기업 전략
    • Green Chemicals 사업, Life Science 사업 전략 검토
      - 그린포트폴리오, 제품 안전성 등 Product Stewardship 적용
    • 기후변화 전략과 RE100에 부합하는 사업 포트폴리오 고려
    미디어 리서치
    • 미디어 이슈 중 재무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사 분석
      - ESG 이슈가 SK케미칼에 재무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요건 분석
    • 미디어 이슈 중 주주, 투자자 등 재무적 영향 적용
    이해관계자 참여
    • E/S/G 영역별로 중요이슈, 재무영향 가중
    • 비재무적 활동에 대한 이해관계자(주주 등)의 기대/우려 반영
    • 부정적 영향의 심각성, 긍정적 영향, 재무영향 분석
  • Environmental & Social Materiality

    국제 표준 분석
    • Environmental & Social Materiality 입장의 지표인 GRI Standards, ISO 26000, UN SDGs 지표 분석
    • 정부, 시민단체 등 외부이해관계자 공시 요구 대응
    벤치마킹
    • 글로벌 선진그룹 및 동종업계의 공시자료 분석
    • 산업 이니셔티브, 산업계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비재무 영향 분석
    미디어 리서치
    • E/S/G의 부문 활동 중 미디어에 노출된 이슈 분석
      - 환경/사회적 이슈‘에’ SK케미칼‘이’ 영향을 준 기사 분석
    • 미디어 이슈 중 기업 명성, 브랜딩, 사회적 가치 분석
    이해관계자 참여
    • 현재/미래 영향, 부정적/긍정적 영향 관점에서 이해관계자의 관심 반영
    • 경영활동이 E/S/G 이슈에 미치는 이해관계자 기대/우려 확인

이중 중대성 평가 결과

이중중대성 평가 결과는 해당년도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